본문 바로가기

알뜰 깨알 뉴스 집합137

극한 호우 장마 끝 ‥폭염 · 태풍 카눈 · 2차 우기 장마가 끝났습니다. 역대 강수량 3위, 극한 호우로 큰 피해를 남기고 한 달 만에 끝났습니다. 아직 2차 우기가 남았고 폭염과 태풍도 기다리고 있습니다. 2023년 역대급 장마 종료 극한 호우를 뿌린 장마가 7월 26일로 끝났습니다. 전국 동시 장마로 시작해 한 달 만에 끝났습니다. ■ 전국 누적 강수량 641.1mm, 평년의 2배 장마 기간 전국의 누적 강수량은 641.1mm입니다. 평년의 두 배를 넘었습니다. 관측이 시작된 1973년 이후 세 번째로 많았습니다. 역대 강수량 1위 2006년과 2위 2020년의 경우 장마 기간이 올해보다 더 길었습니다. 장마 기간 대비 강수량은 올해가 최고, 그만큼 집중 호우가 많았습니다. 역대 장마 강수량 1~3위 1위 2006년 704mm (장마기간 27일) 2위 .. 2023. 7. 27.
전기차와 혹한·폭염‥주행거리 TOP 모델 &전고체 배터리 전기차가 혹한은 물론 폭염의 영향도 큰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주행거리가 짧아지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미국 보고서 내용과 주행거리가 좋은 TPO모델 전기차는 무엇인지 알아봅니다. 폭염에 전기차 일부 주행거리 31% 급감 전기차 배터리와 주행 범위를 분석하는 미국의 회사 '리커런트'가 최근 발표한 결과 보고서에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다양한 기상 조건에서 각종 전기차를 테스트한 결과가 담겨 있습니다. 테스트 차종은 모델3를 비롯한 테슬라의 모든 모델과 쉐보레의 볼트, 현대차의 코나EV, 닛산의 리프, 포드의 F-150라이트닝, 머스탱 마하-E 등 65개 전기차와 플러그인하이브리드 모델입니다. 테스트 결과 폭염으로 인한 성능 저하가 가장 적은 모델은 테슬라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성능이 좋지 않은 모델은 .. 2023. 7. 25.
퇴직연금 디폴트 옵션과 유형, 상품, 수익률 정리 퇴직연금 디폴트 옵션이 2023년 7월 12일부터 의무화됩니다. 수익률을 높이기 위한 사전지정 운용제도로 퇴직연금 시장의 변화가 예상됩니다. 유형과 상품, 수익률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디폴트 옵션(Default Option, 사전지정 운용제도) 디폴트 옵션은 퇴직연금 가입자가 별도로 운용지시를 하지 않을 때 미리 선택한 상품으로 대기성 자금(적립금)이 자동으로 투자되도록 하는 것으로 우리말로는 '사전지정 운용제도'라고 합니다. 투자 상품이 만기가 됐는데도 새로운 운용 지시를 하지 않아 잠자고 있는 돈을 굴려 퇴직연금 수익률을 더 높이자는 취지로 마련됐습니다. 2017년 이후 최근 5년간 우리나라의 퇴직연금 연평균 수익률은 2%대로 디포트 옵션을 도입한 미국과 영국, 호주 등의 수익률 8~10%에 비해 .. 2023. 7. 11.
불안한 새마을 금고‥안전성 확인, 경영 공시 보는 법 새마을 금고의 건전성에 대한 불안감이 확산하고 있습니다. 해당 금고의 경영공시를 통해 안전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경영공시 보는 방법과 안전성 지표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새마을 금고, 경영공시로 안전성 확인 새마을 금고의 안전성, 건전성은 인터넷 홈페이지의 경영공시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먼저 새마을 금고 홈페이지 접속합니다. 상단 메뉴에서 두 번째 사업안내에 가면 오른쪽에서 두 번째 전자공시가 보입니다. 정기공시와 수시공시 두 가지가 있는데 정기공시를 선택합니다. 정기공시에서 기준연도와 기준월, 해당 금고명을 입력합니다. 해당 금고에 대한 제반 정보가 제공됩니다. 그중에서 20번 대출 채권 현황을 살펴봅니다. 기업자금대출 비중과 가계 자금 대출 비중을 비교합니다. 가계 자금 대출 비중이 높거나.. 2023. 7. 6.
상병수당 2단계 ‥ 지원대상, 지급금, 신청·지급절차 정리 상병수당 2단계 시범사업이 7월부터 시행됩니다. 4곳이 새로 추가되면서 모두 10곳으로 늘어났고 대상자는 소득 하위 50% 취업자로 한정됐습니다. 지원대상과 지급금액, 신청과 지급절차 등을 정리했습니다. 상병수당 2단계 시범사업 ‥ 7월부터 4곳 추가 실시 상병수당은 업무와 관련 없는 부상이나 질병으로 일을 쉬어야 할 때 최소한의 소득을 지원해 주는 제도입니다. 치료에 집중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건데 코로나19 사태를 계기로 아프면 쉬는 문화의 정착이 중요하다는 인식이 확산되면서 2022년 7월 처음 도입되었습니다. 시행 1주년을 맞아 2단계 시범사업이 4곳에서 추가 실시됩니다. 경기 안양시와 용인시, 대구 달서구, 전북 익산시가 선정됐습니다. 시범사업 단계이기 때문에 해당 시범지역에 살거나 사업장에서 .. 2023. 7. 4.